본관제 의미 썸네일형 리스트형 본관제의 기능과 의미 본관제의 기능과 의미 고려 초에 성립한 본관제가 어디 무슨 씨라고 하는 말로 자신을 드러내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국가의 대민(對民) 통치의 한 수단이라고 하는 점까지 살펴봤습니다. 지금부터는 고려시대에 본관제가 어떤 기능을 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에서 본관과 성씨를 연이어 사용하는 본관제는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됩니다. 그것은 고려의 지방제도의 특징 때문입니다. 먼저, 고려 지방제도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고려에서는 태조 23년에 군현의 이름을 정한 적이 있습니다. 태조에게 협력한 공로를 기준으로 주·부·군·현·향·소·부곡 이런 등급을 지방 이름에 두었다고 하는 점까지는 지난 시간에 설명을 했는데요, 이것이 점점 정비되어 성종 2년에 주 가운데 12곳을 '목(牧)'으.. 더보기 이전 1 다음